목록엑셀 (8)
자유 그리고 경험

애드센스 세번째 낙방 2주동안 열심히 달렸건만 돌아온 것은.. 또 한번의 저품질 화면입니다. 도대체 왜 저품질이 뜰까?? 몇가지 이유는 있어보입니다. 카테고리 내 적은 컨텐츠 카테고리라고 해서 들어갔더니 글이 하나밖에 없습니다. 구글은 보통 블로그가 아닌, 사이트라고 인식하고 들어가는데 이렇게 카테고리라고 거창하게 이름붙여놓고 글이 하나 있으면 당연히 별로라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. 스킨 내 archive 링크 스킨의 특성상 날짜별로 링크가 자동생성되는데, 이걸 구글도 크롤링 합니다. 그리고 링크를 클릭하면 허무하게도 짧은 목록이 나옵니다. 카테고리 하나에 글만 적어도 통과가 잘 안된다던데, 이런 화면을 보면 구글이 안 좋아할 법도 합니다. 구글에서 내 사이트의 어떤 링크들이 색인됐나 확인할 수 있는 's..

빠른 정답 -> 2천 2백억 친구가 단톡방에 질문을 했습니다. 2.2E+11이 얼마나 큰 숫자야? 이거 엑셀에서 많이 보던 숫자인데? 엑셀에서도 너무 큰 숫자를 쓰다보면 위와 같은 숫자로 표기되곤 합니다. 숫자가 너무 커지면, 뒷자리의 숫자들은 거의 의미가 축소되기 때문에 ( 30억짜리 건물을 평소에 '3억6천3백2십일원 짜리 건물이야' 라고 하지 않듯이) 앞자리만 표기하고 뒷부분은 몇의 자리를 나타내는지만 알 수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 그리고 똑똑하신 과학자분들께서 숫자의 '과학적 표기법(Scientific Notification)' (또는 과학적 기수법)이라는 것을 만들었다고 합니다. 과학적 표기법(Scientific Notation) 과학적 기수법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진 기..

안녕하세요~ 업무자동화로 생산적인 삶 #업무자동화#엑셀#엑세스#VBA#셀레늄 #AutoHotkey#구글#매크로#코딩 #공동공부#자습을 통해 효율적, 생산적 삶을 꿈꿉니다.비번bool open.kakao.com 간만에 오픈카톡방에서 제가 뚝딱 답변할 수 있는 질문이 나와서 호로록 해결해보고 포스팅해봅니다. Q: 서식이 너무 많이 걸려있어서 버벅거리는데, 서식 한번에 지울 수 있나요? 질문하신 분은 사진으로 보아, 각종 조건부 서식. 셀병합 등도 걸려있는 것 같았습니다. 서식 때문에 붙여넣기가 안된다고도 하시더라구요. 실제로 병합된 셀에 다른 비병합 셀의 내용을 붙여넣기를 하려고 하면 잘 안됩니다. 되는 경우와 안되는 경우를 일일히 따져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구요. 간단히 다시 병합을 풀어주고 붙여넣기를 하..

최근에 포스팅하고 유입 들어오는 거 보는데 푹 빠져있습니다. 오늘도 습관적으로 유입 로그를 구경하던 중 흥미로운 걸 발견했습니다. 로그를 살펴보면 [엑셀에서 월을 자동으로 채우기], [엑셀 연도에서 연도 빼기] ,[엑셀 같은 이름 합계] 등이 등장합니다. 이것이 흥미로운 이유는, 저는 이 주제로 글을 쓴적이 없기 때문입니다! 제가 받아들인 상황은 '위 주제로 분명 수요는 있지만, 관련된 글로 공급이 없기 때문에 관련 없는 내 블로그까지 추천이 된 것' 입니다. 물론 다음이 구글만큼 똑똑하다는 전제하에서 말이에요. 이것이 사실이라면 수요대로 공급만 해주면 실제로 도움 얻어가는 사람도 많고, 제 글 클릭율도 올라갈 것입니다. 저 주제로 검색을 했지만, 제 글이 관련 제목이 아니라서 클릭을 안 한 사람은 더 ..

다른 매체들에서 매크로 관련 글들을 쓰면서, 자동화를 위한 VBA 초보자들이나, VBA를 당장 어려운 분들은 반복 작업을 위해 매크로 녹화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많이 소개드려왔습니다. 또, 매크로 녹화를 한 후 기록된 매크로 코드를 뜯어보면서 필요한 기능의 코드를 알 수도 있습니다. 글을 쓸 때마다 예제 만들기가 어려웠는데, 오늘은 좋은 예제가 있어 같이 만들어보며 감을 잡아보려고 합니다.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. 위의 자료 형태로 60개정도 자료가 있는데, 이 자료를 아래와 같이 바꿔서 정리하고 싶습니다. 한눈에 생각했을 때, 줄 사이사이마다 새로운 행을 삽입해주고, 일일히 '셀병합'을 해주고, 어떤 부분은 잘라내서 다른 부분에 붙여넣기 까지 하는 등 복잡해 보입니다.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복잡..

월별 입출고 갯수 파악이 필요한 상황! 하나하나 세면 너무 단순 노가다 같은데 뭔가 쉬운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여 지인분이 저에게 의뢰를 해주셨습니다. 먼저 제가 받은 데이터는 이랬습니다. 오우~ 같은 자료가 여러 칸으로 나뉘어 있는 게 신기하군요. 일단 자료들을 한줄로 정리해주었습니다. 이렇게 모아놓으니까 마음이 한결 편안~해집니다. 저에게 의뢰하신 분은, 저 첫번째 열에서 "/" (슬래쉬) 기호를 중심으로 앞이 입고일, 뒤가 출고일이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. 여기서 엑셀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필요할 것 같아요 셀 하나에 데이터 하나만 셀병합은 노노! 2번 원칙은 이번 의뢰와는 상관 없지만, 초보자분들이 많이 하시는 실수이기에 한 번 끼워넣어 봤습니다. 종종 디자인때문에 셀 병합을 하시곤 하는데, 데이터..